본문 바로가기

Windows Server

(7)
Windows Server #7 Windows Server 2016의 특징 Windows Server 2016은 Windows Server 2008 등에 비해서 몇 가지가 변경되었는데 ∎ 이전의 터미널 서버를 원격 데스크 탑 서버로 바꿨고, ∎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서버들을 묶어서 서버그룹으로 만들었다. ∎ DOS와 같은 Server Core 운영체제가 좀 더 보강되었다. ∎ 그리고 가상화 기술인 Hyper-V와 Hyper-V Replica(복제)를 사용해서 고차원의 가상화를 지원한다. =>Cloud(Azure, Hadoop, Docker, Nano, Kubernetes) ∎ 저장소는 Hyper-V 가상화 기법을 적용해서 대용량의 디스크를 작은 용량으로 사용하거나 작은 용량의 디스크를 대용량으로 사용하게 한다.
Windows Server #6 홈 폴더와 로밍 프로파일 1) 홈 폴더 홈 디렉터리나 홈 폴더는 Linux에서의 home directory와 유사하게 로그온한 사용자의 문서를 저장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버 내의 저장소이다. 사용자 문서의 백업 중앙화, 다수의 클라이언트 머신에서 홈 폴더에 접근 가능, 그리고 모든 버전의 Windows, MS-DOS에서의 접근 가능 등의 장점이 있다. 2) 사용자 로밍 프로파일 프로파일은 사용자별로 적절히 설정된 환경을 제공하는데 사용자의 데스크 탑, 프로그램 설정 등을 사용자에 맞춰서 자동으로 실행되게 한다. 모든 사용자들은 관리자의 간섭 없이 컴퓨터에 로그온 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기본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프로파일은 각 사용자가 로그 온/오프 시 동일한 설정을 가지게 하고, 데스크 탑 변경의 ..
Windows Server #5 서울 kahn.edu 도메인에 가입된 win7-1 머신에서는 win7-1/administrator해서 로컬로 로그인이 가능하고, administrator@kahn.edu(OR KAHN\administrator) 해서 자신이 속한 도메인으로 로그인 가능하지만, administrator@pusan.kahn.edu식으로 도메인끼리 트러스트 관계가 맺어져 있는 부산 도메인으로 로그인도 가능하다. =>서울이든 부산이든 각 도메인에 속한 어느 워크스테이션에서 어느 도메인으로도 로그인 가능하다!! 이런 경우 각 도메인에 속한 워크스테이션은 단말기에 불과하다. 이제 Windows 서버로 구성된 도메인에 CentOS Linux 머신을 워크스테이션으로 가입해본다. 이를 위해서 Windows 시스템에서 Linux 시스템을 ..
Windows Server #4 서브 디렉터리와 가상 디렉터리 서브 디렉터리나 가상 디렉터리는 메인 디렉터리의 하부 디렉터리로써 외부에서 http://서버_IP/가상_디렉터리/ 나 http://서버_IP/서브_디렉터리/ 형식으로 접속하면 된다. 각 가상/서브_디렉터리에 index.html을 넣어두면 여러 웹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게 된다. ▪ 서브 디렉터리는 메인 웹 디렉터리(/inetpub/wwwroot/)의 하부 디렉터리이고, ▪ 가상 디렉터리는 아무 곳이나 새로운 디렉터리를 생성해서 IIS 관리자 화면의 default html 메뉴의 가상 디렉터리 관리에서 이 디렉터리의 위치를 지정해서 운영한다. WIN_SER1 서버를 DNS와 HTTP 서버로 만들고, WIN_SER2를 FTP 서버로 만들고 도메인을 kahn.edu로 해서 www..
Windows Server #3 도메인에서는 모든 사용자를 서버에서 인증하기 때문에 Windows 7과 같은 Workstation은 하나의 단말기에 불과하게 된다. 이런 기반으로 naver나 일부 보안을 중시하는 사이트에서는 MAC 주소로 로그인하는 머신을 파악해서 로그온 머신이 달라진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로그온 시간대, 로그온 지역 등으로 로그온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Windows 7에 로컬로 로그온 하려면 로컬 컴퓨터에 해당 사용자가 생성되어져 있어야 한다. 로컬에서 도메인 사용자를 생성해도 도메인의 리소스를 사용할 수는 없다. 도메인 사용자는 도메인 서버에서 생성해 주어야 한다. 파일/폴더 등 서버 리소스에 대한 소유권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것은 Oracle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나 Linux 서버에서 특정 개체(파일/폴더)..
Windows Server #2 그룹정책(GP:Group Policy)은 Computer와 User 별로 설정할 수 있는데 두 설정이 충돌하면 Computer 설정이 우선한다. Windows Server 부팅 과정 a. 전원 ->POST(Power On Self Test) ->MBR(Master Boot Record) ->BOOTMGR(멀티부팅이면 원하는 OS 선택) ->Windows Loader(win.ini, sys.ini) ->Login screen ->시작 프로그램 실행 ->바탕화면으로 진행된다. b. Windows Server가 정상 부팅되지 않으면 부팅 시 F8을 누르고 Safe Mode, Safe Mode with Networking, Safe Mode with Command Prompt, Last Known Good Co..
Windows Server #1 Windows Server의 특징 Windows 서버는 Linux처럼 다중 사용자 시스템, Software RAID 지원, 강력한 네트워크 지원, 데이터 백업, 외부에서의 서버 접속, 데이터베이스 설치(MS SQL 서버), IIS(Internet Information System)을 통한 HTTP와 FTP 서버 설치, DNS 서비스(Active Directory 설정 시 도메인 필요), E-mail 서비스(무료 hMailServer나 MS Exchange 서버), DHCP 서버, 파일 서버, 도메인 설정(AD(Active Directory)를 통한 Group, OU(Organizational Unit)) 등이 가능하고, 가상화(Hyper-V), Server Core(Linux runlevel 3처럼 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