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Server 2016의 특징
Windows Server 2016은 Windows Server 2008 등에 비해서 몇 가지가 변경되었는데
∎ 이전의 터미널 서버를 원격 데스크 탑 서버로 바꿨고,
∎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서버들을 묶어서 서버그룹으로 만들었다.
∎ DOS와 같은 Server Core 운영체제가 좀 더 보강되었다.
∎ 그리고 가상화 기술인 Hyper-V와 Hyper-V Replica(복제)를 사용해서 고차원의 가상화를 지원한다. =>Cloud(Azure, Hadoop, Docker, Nano, Kubernetes)
∎ 저장소는 Hyper-V 가상화 기법을 적용해서 대용량의 디스크를 작은 용량으로 사용하거나 작은 용량의 디스크를 대용량으로 사용하게 한다. <=Linux의 LVM 기능과 유사
∎ Direct Access는 외부의 VPN 등에서 접속할 때 사용되는데 재택근무 등에서 유용하다.
∎ Dynamic Access는 여러 대의 파일 서버에 동일한 데이터 관리정책을 동시에 적용시키는 기술이다. <=Linux의 NIS 서버 기능과 유사
∎ 새로운 파일 시스템인 ReFS(Resilient File System)은 기존 NTFS의 가용성과 무결성을 한층 강화한 기법이다.
∎ IPAM(IP Address Management) 서버는 조직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IP 주소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도구이다. <=NAC 기능과 유사
∎ Nano Server는 기존의 Server Core에 비해서 훨씬 작은 용량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OS로써 재시작이나 이미지 복제 등을 아주 빠르게 수행해준다.
Nano 서버도 Core 서버처럼 그래픽 없이 터미널로만 제공된다.
=>보통 Server Core는 해당 머신에 직접 들어가서 명령어로 작업하지만
Nano Server는 Hyper-V 환경에서 구성되고 원격으로 들어가서 작업해야 한다.
∎ Windows Container는 Nano Server와 같이 작은 운영체제를 실행시켜주는 가상화 기술이다. 클라우드에서는 가상머신을 컨테이너라고 부른다. Hyper-V로 설치하는 가상머신은 VMware로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완전한 OS(개별적으로 RAM, HDD, CPU를 포함)하는 독립된 컴퓨터로 간주되지만 무겁다. 하지만 Windows Container의 가상머신은 Hyper-V와 같은 가상 컴퓨터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훨씬 가볍고 생성도 용이한데 Docker 기술을 응용한 기법이다.
Windows Server 컨테이너와 Hyper-V 컨테이너 두 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 Docker와 유사
==>Windows Server 2016은 Windows 10과 기본적인 인터페이스가 동일하다. 메뉴찾기가 매우 용이하다.
가상화 서버 도구인 Hyper-V는 Linux에서의 KVM과 같은 역할을 한다.
Windows에서의 가상화 기법에는 두 가지 기법이 있는데
∎ Host 형 가상화 : VMware의 VMware Player/Workstation, MS의 VirtualPC 2007/Virtual Server 2005, Oracle의 VirtualBox 등이 있고, =>Linux의 KVM 가상화
<= 학교 등에서 실습용 호스트로 사용 클라이언트용 가상화 도구이다.
∎ HyperVisor 형 가상화 : VMware의 VMware vSphere/VMware ESXi, MS의 Hyper-V, Citrix의 XenServer, Oracle의 VMServer 등이 있다.
<= 조직에서 실제 가상화 서버의 기능 수행
가상화를 하면 하드웨어 사용률을 높여서 물리적인 서버의 운영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설정하고 테스트 환경을 재현하는 시간을 줄여서 개발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으며, 물리적 컴퓨터만 사용하는 장애조치 구성에서 필요한 만큼의 물리적 컴퓨팅을 사용함으로써 물리적인 서버의 가용성이 커진다.
가상화는 가상 컴퓨터 및 해당 리소스를 만들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서버 서비스로서 각 가상 머신은 격리된(독립된) 상황에서 작동되는 가상화된 컴퓨터 시스템이다. 여러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Container ->Docker
Nano Server
=>Linux에서 주로 사용하는 Docker와 유사한 개념으로 보면 된다.
Nano Server 특징
∎ Hyper-V 가상 컴퓨터에서 컴퓨팅(계산)용으로 사용되거나,
∎ 파일 서버의 저장소나 저장소 관리로 사용되거나,
∎ DNS 서버나 IIS 웹 서버로 사용된다.
∎ 그리고 가상 컴퓨터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주로 사용된다.
∎ Nano Server는 로그온이 없어서 원격 접속만 가능하고,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이나 도구만 지원하고,
∎ Active Directory의 DC로 작동되지 못하고,
∎ GPO를 적용시킬 수도 없다.
∎ 또한 Proxy Server로도 사용할 수 없고,
∎ Power Shell을 사용하지 못한다. PowerShell은 이보다 용량이 조금 큰 Server Core에서 사용될 수 있다.
∎ 가벼운 용량의 서버는 Nano Server로 만들어서 클라우드에 올리면 좋다.
'Windows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erver #6 (0) | 2023.05.12 |
---|---|
Windows Server #5 (0) | 2023.05.12 |
Windows Server #4 (0) | 2023.05.12 |
Windows Server #3 (0) | 2023.05.12 |
Windows Server #2 (2) | 202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