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ndows Server

Windows Server #1

  Windows Server의 특징

  Windows 서버는 Linux처럼 다중 사용자 시스템, Software RAID 지원, 강력한 네트워크 지원, 데이터 백업, 외부에서의 서버 접속, 데이터베이스 설치(MS SQL 서버), IIS(Internet Information System)을 통한 HTTP FTP 서버 설치, DNS 서비스(Active Directory 설정 시 도메인 필요), E-mail 서비스(무료 hMailServer MS Exchange 서버), DHCP 서버, 파일 서버, 도메인 설정(AD(Active Directory)를 통한 Group, OU(Organizational Unit)) 등이 가능하고, 가상화(Hyper-V), Server Core(Linux runlevel 3처럼 그래픽 없이 Windows 서버 핵심만으로 운영하므로 리소스를 매우 적게 사용하고, 보안이 좋다) 등이 있다. Windows 2018에서는 Nano Server를 사용해서 클라우드 서버로 활용하는 것이 특색이다. 그리고 RoDC(Read only Domain Controller) 개념도 있다. Windows 7부터 내장된 Power Shell(Linux Shell Scripts와 유사)이 내장되어 있어서 강력한 스크립트로 시스템 운영을 가능하게 해준다.

 

=>Linux와 비교해서 Windows Server만의 정점으로는 

모든 도메인 내의 노드들에 적용되는 GPO(Group Policy Object) 설정

여러 Domain 구축 및 확장/연계가 편리 <= 도메인 간 Trust 관계,

Terminal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데 하나의 서버 소프트웨어를 여러 클라이언트들이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서비스는 원격 데스크탑으로 점차 대체되었음

 

  실습을 위해서 가상머신 다섯 개로 

win_ser1(p@ssword1) : 192.168.111.200

win_ser2(p@ssword2) : 192.168.111.201

win_ser3(p@ssword3) : 192.168.111.202을 생성하고

win7(win7) : 192.168.111.203

   =>Win_ser1 도메인에 가입(workstation이 됨)하고

win10(win10) : 192.168.111.204

   =>Win_ser2 도메인에 가입(workstation이 됨)한다.

Linux CentOS1 Ubuntu1을 각 도메인에 추가로 가입해서 하나의 도메인 안에    Windows/Linux 클라이언트가 모두 존재하는 네트워크로 구성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 노드들을 인증하기 위한 Kerberos/RADIUS 서버 등이 필요할 수도 있다.

 

  도메인이 없는 처음 Windows Server Standalone(단독) Server(Local Server)가 되고, 나중에 kahn.edu와 같은 도메인을 생성해서 이 서버를 도메인에 가입시키면 Windows Server Domain Controller(Domain Server)가 된다.

=>로컬 서버에서의 사용자와 도메인 서버에서의 사용자는 구별된다!!!!!

  하지만 도메인 사용자는 도메인에 가입된 도메인 로컬 호스트를 통해서 도메인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Windows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erver #6  (0) 2023.05.12
Windows Server #5  (0) 2023.05.12
Windows Server #4  (0) 2023.05.12
Windows Server #3  (0) 2023.05.12
Windows Server #2  (2) 2023.05.12